트렌드 주도 데이터 자동화 솔루션

뉴스기사 자동 수집 - S사 RPA 구축사례

빅데이터 시대입니다. 마케팅팀, 광고홍보팀, 법무팀, 물류팀 등 기업 내 다양한 부서에서는 멀티채널을 통한 데이터 수집이 한창입니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이유로는 데이터에 기반한 더 나은 의사 결정 그리고 신속한 정보 수집을 통해 위기 대응, 인사이트 확보 등 비즈니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디지털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데이터 수집에 앞서, 어떤 채널로 데이터를 확보할 것인지도 중요하게 다뤄야할 사항입니다. 그중 뉴스기사, SNS 댓글, 자사 웹사이트 로그, 서베이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한 데이터 수집이 일반 사무 업무와 가장 밀접하게 맞닿아 있을 것 같은데요.

기존에 많은 시간과 인력을 들여야 했던 이 업무를, 이제는 스스로 학습하여 사람을 대신해 수행하는 지능형 RPA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최신 트렌드 분석을 위해 키워드별 뉴스기사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결과를 담당자에게 전달하는 ‘나만의 비서’가 있다면 내 업무 효율은 얼마나 좋아질까요? S사에 구축한 ‘뉴스기사 자동 수집 RPA 사례’를 소개해보겠습니다.

뉴스기사 크롤링 자동화 프로그램

AS-IS
업체정보
회사명: [물류] S사
업무명: 뉴스기사 크롤링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업무내용: 뉴스기사 크롤링 후 보고자료 생성
기존 업무현황: 수행 인원 1명 / 월 누적 수행 시간 60시간
트랜드 파악 및 업무효율 극대화 필요

S사의 물류팀 담당자는 네이버, 다음 등 주요 웹사이트에서 100여개의 키워드를 검색하여 뉴스기사를 수집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물류기업 동향과 자사 서비스와 관련된 파손 및 불량 등의 컴플레인과 같은 뉴스기사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신속한 대응을 돕습니다.

특히 물류 관련 이슈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최신 트렌드는 물론 새로운 기술을 파악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 수집은 중요한 업무 중 하나입니다.

뉴스기사 수집 업무는 분명 단순한 업무지만 매일 수행해야 하는 반복적인 성격을 갖기 때문에 담당자의 업무 효율이 떨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순 반복적인 업무에 RPA를 적용하면, 담당자의 업무 환경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뉴스기사 크롤링 자동화 프로그램

TO-BE
크롤링 자동화 프로그램 도입

뉴스기사 수집을 수행해야하는 날짜와 시간을 미리 지정한 후 RPA를 구동시키면 기사를 수집할 사이트, 키워드, 날짜 등 지정 기준에 따라 해당 내용을 자동 검색합니다.

이때 전일 대비 중복되는 뉴스기사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제거하고, 신규 게시물만 필터링하여 결과 파일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결과 파일을 report화하여 담당자에게 메일로 발송합니다. 담당자는 메일로 발송된 결과 파일만 최종 검토하여 필요한 뉴스기사만 원문으로 확인합니다.

뉴스기사 크롤링 자동화 프로그램

Business Impact
업무효율 극대화 및 휴먼 에러 감소

뉴스기사 수집 담당자가 월 60시간 수행했던 이 업무를 RPA는 단 20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습니다.
RPA가 업무를 대신 수행함으로써 담당자는 하루 평균 2.7시간 할애했던 업무를 다른 곳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휴먼 에러를 100% 감소시키고, Loss Keyword를 최소화하는 업무 효율을 가져왔습니다.

이상 S사의 뉴스기사 자동수집 RPA 구축사례를 살펴보셨습니다. RPA 장점은 사람의 업무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휴먼 에러를 감소시켜 업무의 정확도를 상승시킵니다. 또 반복 수기 업무 제거로 사람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RPA를 도입하는 기업들의 목표가 업무 생산성의 극대화인만큼, 여러분의 업무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기업별 직무별 다양한 RPA 적용사례를 확인해보세요! 달라진 사무환경을 즉각적으로 경험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